청약통장 다들 가지고 계시죠? 청약통장은 내집마련을 위한 필수품 중 하나로 자리잡은지 오래입니다. 하지만 막상 주택청약을 하려고 하면 헷갈리는 부분들이 많은데요~ 그래서 오늘은 헷갈리기 쉬운 국민주택과 민영주택의 차이점과 조건들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국민주택이란 무엇인가요?
국민주택은 국가나 지방자치단체 또는 LH 및 지방공사가 건설하는 주거전용면적 85m2 이하의 주택을 말합니다. 즉, 정부지원을 받아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되는 주택인거죠. 이 때 무주택자에게 우선권이 주어지며 경쟁이 발생하면 소득기준 순으로 입주자가 선정됩니다.
민영주택이란 무엇인가요?
민영주택은 국민주택을 제외한 주택을 의미하는데요, 민간건설업체가 분양하는 주택이기 때문에 공공택지보다는 민간택지 비율이 높은 편입니다. 또한 대부분 중대형 평수 위주로 구성되어 있죠. 따라서 같은 지역이라도 국민주택이냐 민영주택이냐에 따라 당첨 확률이 달라질 수 있으니 참고하세요!
그렇다면 어떤 사람들이 국민주택/민영주택에 신청할 수 있나요?
국민주택이든 민영주택이든 공통적으로 1순위 자격요건이 존재합니다. 먼저 만 19세 이상이어야 하며, 세대주 혹은 세대원 모두 5년 이내 다른 주택에 당첨된 적이 없어야 합니다. 그리고 해당지역 거주기간이 2년 이상 되어야 하죠. 만약 투기과열지구라면 통장 가입 후 2년이 경과해야하며 납입횟수 24회 이상 납부해야한다는 점 잊지마세요!
지금까지 국민주택과 민영주택의 차이점과 조건 등을 살펴보았는데요,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나요? 그렇다면 다음 시간엔 더욱 유익한 정보로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부동산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세완납증명서 발급, 출력 방법 알아보자 (0) | 2024.02.07 |
---|---|
국세완납증명서 발급 필요성 살펴보자 (0) | 2024.02.07 |
교통유발부담금 조회 계산방법 알아보자 (0) | 2024.02.07 |
건축물대장 무료열람 발급 방법, 신청 알아볼게요 (0) | 2024.02.07 |
건축물 용도변경 절차, 주의사항 알아보자 (0) | 2024.02.07 |